분자생물학

코로나 백신 접종, 접종 순위, 백신 원리, 부작용

콜드워터 2021. 2. 3. 22:42
반응형

이번 년도 코로나 백신 접종이 확실화되었음에 백신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우리나라가 계약을 맺으려는 제약회사들과 접종 순위, 백신 원리, 백신 부작용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기사들이랑 뉴스 보면 아스트라제네카나 화이자 백신들이 많이 소개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화이자 백신을 특례수입한다고 결정이 났다고 합니다. 그래서 빠르면 이번달 중순에 화이자 백신을 접종할 수도 있다네요

특례수입?

특례수입이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허가되지 않은 의약품을 바로 수입하도록 하는 제도로, 첫 코로나 백신인 렘데시비르가 이렇게 수입되었었죠

 

그래서 빠르면 이번달 중순에 화이자 백신을 접종할 수도 있다네요. 추가로 원래 받기로 했던 6만명분의 백신도 들어오구요!

 

그럼 화이자 백신의 기본원리를 간략히 알아보도록 합시다.

 

백신의 기본원리는 체내에 존재하는 면역시스템이 폭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미리 자극을 넣어준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보시면 바이러스에 돌기가 달려있죠 이게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체내에 바이러스나 세균이 들어오면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하는 과정이 일어납니다. 만약 이 물질이 체내에 존재하는 것들과 다르다! 싶으면 공격을 해야겠죠

 

거기서 필요한게 저 돌기를 인식하고 그 모양과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이 필요합니다. 그게 바로 항체 단백질인거죠

 

RNA백신은 이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체를 넣어주는 건데요 

 

1 코로나 바이러스에서 돌기생성을 담당하는 유전자(mRNA) 조각을 찾습니다. 

    mRNA: 단백질 생성을 지시하는 유전자

 

2 이를 체내세포가 받아들일 수 있는 지질껍데기를 씌워서 체내로 주입합니다.

 

3 체내 세포에 코로나바이러스의 mRNA가 들어가게 되고 리보솜(단백질 생성 세포소기관)에서 돌기 단백질을 만들게 됩니다.

 

4 바이러스와 똑같은 돌기를 세포막에 붙이게 되는순간 이를 인식하고 결합하기 위한 항체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4.5 체내에서 항체항원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데 보통 이렇게 나타나는게 백신의 부작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5 바이러스와 맞물리는 모양의 항체를 만들어냈다면 인체는 이를 기억해둡니다.

 

6 실제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신체에 들어왔을 때 이 기억세포를 이용해 폭발적인 면역반응이 일어나고 항원을 물리칠수 있습니다!!

 

 

네 이렇게 아주 아주 간략한 설명을 해봤구요....(이해하기 쉬웠다면 다행)

 

다음은 접종 순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1분기  접종 : 요양병원, 고위험 의료기관, 종사자
  • 2분기  접종 : 65세 이상, 의료기관 노인복지시설 종사자
  • 3분기  접종 : 만성질환자, 성인(19~64) 
  • 4분기  접종 : 2차 접종(코로나 백신은 2번 맞아야 항체반응이 더 잘일어남), 미접종자

네 이렇게 건강한 성인이라면 3분기로 접종을 하게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제 화이자 코로나 백신 부작용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보통의 백신들과 마찬가지로 접종부위의 열감, 피부염 등이 일어날 수 있고 피로감이나 두통등이 따라오는 

경미한 부작용이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백신들과 마찬가지로 아나필락시스, 강한 알레르기 반응들이 일어나는 사람도 있으니 꼭 맞기전에 

자신의 건강체크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특히 백신 임상실험 결과중에서도 임산부 반응에 관심이 많은데요.

임상 결과로 임신중 6명이 사망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만 일반인의 사망비율과 크게 다르지 않아 다른 말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로 아직까지는 태아와 산모에게 치명적인 위협이 된다고 나온바는 없지만 16세 이상 접종을 제한을 둔 시점에서 임산부의 접종가능여분는 더욱 고민을 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현 시간부에도 열심히 코로나와 싸우고 계시는 의료진분들과 연구원분들 감사합니다

반응형